수익률 차이 발생 원인
환율 변동 영향
미국 주식은 달러로 거래되므로, 달러 기준 수익률은 주식 가격 변동만 반영됩니다.
반면 원화 기준 수익률은 주식 가격 변동 + 환율 변동이 동시에 반영됩니다.
예시:
주식 가격이 5% 상승했지만, 원/달러 환율이 10% 하락하면 → 원화 기준 수익률 = 5% - 10% = -5%
반대로 환율이 상승하면 수익률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환전 수수료 차이
토스증권은 자동 환전 시 비우대 시간대 (평일 9:10~15:20 외 시간)에 높은 수수료(약 5원/달러)를 적용합니다.
이로 인해 실제 투자 금액이 줄어들어 원화 기준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투자 시점별 환율 차이
매일 일정 금액을 달러로 환전해 투자할 경우, 초기 환율과 현재 환율의 차이로 인해 원화 평가액이 변동됩니다.
예시:
초기 환율: 1,400원/달러 → $10,000 투자 (원화 14,000,000원)
현재 환율: 1,300원/달러 → 주식 가격 변동 없어도 원화 평가액 = 13,000,000원 → -7.1% 손실 발생.
️ 해결 방안
환전 시간대 관리
평일 오전 9:10~오후 3:20에 환전해 우대 환율(약 0.5원/달러) 적용받기.
자동 환전 설정 시 우대 시간대로 조정하거나, 직접 환전해 수수료 절감.
원화 vs 달러 수익률 비교
장기 투자 시 원화 기준 수익률이 중요하므로, 환율 변동을 고려해 달러 노출을 줄이는 전략 필요.
예: 미국 채권 ETF나 금 ETF로 포트폴리오 분산해 환율 리스크 완화.
환헤징(Hedging) 전략
원/달러 선물환 계약이나 달러 ETF를 활용해 환율 변동을 상쇄할 수 있습니다.
단, 초보자에게는 복잡할 수 있으니 간접 투자 방식(예: S&P 500 ETF)을 추천합니다.
요약
달러 수익률 = 주식 가격 변동만 반영.
원화 수익률 = 주식 가격 변동 + 환율 변동 + 환전 수수료.
해결책:
우대 시간대 환전.
장기 투자 시 환율 리스크 분산.
환헤징 전략 고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질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