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전기기능사, 특수용접기능사 취업 뭐가 더 활발하나요? 30대 후반을 달리고 있습니다.기존에 하던 직장을 그만두고 새로운 일을 해보려고

30대 후반을 달리고 있습니다.기존에 하던 직장을 그만두고 새로운 일을 해보려고 합니다.비전공자이며,전기기능사 - 산업기사 - 전기기사  생각해봤는데요.조금 더 알아보니 특수용접기능사도 비전공으로 응시가 가능하더군요.전기기능사랑 특수용접기능사 중 뭐가더 비전이 있고 오래 일할 수 있을까요?장단점을 알려주세요.취득 난이도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네이버정식등록업체 지식iN 소액결제, 콘텐츠이용료(정보이용료), 상품권 등

업계 1위 상담사 레온페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항목,전기기능사,특수용접기능사

취업 활발도,"높음 (연 4만 명 수요, 공장·빌딩 유지보수·설비 직무. 30대 재취업 많음)","중간 (연 2만 명 수요, 조선·자동차 용접 직무. 신입 적고 경력자 위주)"

장기 비전,"높음 (산업기사→기사 경로 쉬움, 50대까지 안정적. 자동화/재생에너지 성장)","중간 (상위 용접기사 연결 가능, 하지만 육체 노동으로 50대 피로↑. 제조 불안정)"

오래 일할 수 있음,"높음 (사무+현장 혼합, 60대까지 가능. 비전공자 3~5년 경력 쌓기 쉬움)","낮음 (현장 육체 노동 중심, 40대 후반 피로 누적. 안전사고 위험)"

장점,"- 비전공자 입문 최고 (응시 제한 0)

- 연봉 초봉 3,000~3,500만 원

- 실내 작업 많아 안정

- 상위 자격(기사)으로 관리직 진급 쉬움","- 실기 중심으로 취득 후 바로 현장 투입

- 초봉 3,200~3,800만 원 (위험수당)

- 제조업 호황 시 보너스↑

- 해외 취업(조선) 가능"

단점,"- 실기 비용 비쌈 (10만 원대)

- 초보 현장 적응 기간 3~6개월

- 경쟁 치열 (비전공자 많음)","- 2023년 종목 분리 (TIG/MIG로 나뉨, 기존 자격 폐지)

- 야외/교대 근무 많아 체력 소모

- 경기 변동 심함 (수출 의존)"

취득 난이도,"중간 (필기 합격률 35~40%, 실기 80%↑. 비전공자 3~6개월 공부, 기초 수학 필요. 기능사 중 상위 난이도지만 인강 풍부)","중간~낮음 (필기 35~40%, 실기 65%↑. 비전공자 2~4개월, 실기 연습 중심. 용접기능사와 필기 면제 가능해 병행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