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어떻게 하면 학원을 끊을 수 있을까요? 현재 중학생이고요 어머니가 거의 강제로 등록한 학원에선 매일 단어 200개를

현재 중학생이고요 어머니가 거의 강제로 등록한 학원에선 매일 단어 200개를 외워 시험 보고 문법, 서술형, 독해, 듣기 전부 다 고등학교 과정을 나가고 있습니다전 이게 정말 너무 버거운데 어머니는 끊는 건 안 된다고 하고저는 너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네요학원 다니는 거? 전혀 원하지 않고 영어보다는 제가 약한 수학이나 역사를 조금 더 공부하고 싶습니다어떻게 해야 어머니한테 제가 힘들다는 것이 확실히 전달될까요 어떻게 해야 학원을 끊고 공부하게 될 수 있을까요…

가장 큰 문제는 '어떻게 하면 어머니를 설득할 수 있을까'인 것 같습니다. 단순히 "힘들다"고만 하면, 어머니께서는 "남들도 다 한다", "지금 편하면 나중에 고생한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를 설득하기 위해서는 감정적인 호소가 아니라 구체적인 계획과 증거를 보여드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원을 끊고 공부를 안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학원 대신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책임감 있게 공부하겠다'**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다음은 어머니와 대화하고 설득을 시도해 볼 수 있는 구체적인 단계입니다.

1단계: 철저하게 준비하기 (감정 < 논리)

무작정 "힘들어서 끊을래요"라고 말하기 전에, 어머니의 걱정을 잠재울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해야 합니다.

* 나의 현재 상태 분석하기:

* 현재 학원 때문에 구체적으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적어보세요.

* 예: "매일 영어 숙제에 3시간이 걸려서, 정작 중요한 수학/역사 복습은 30분도 못 하고 있습니다."

* 예: "잠자는 시간이 부족해서 수업 시간에 집중력이 떨어집니다."

* 어머니의 걱정 파악하기:

* 어머니가 왜 그 학원을 고집하실까요? 아마도 '고등학교 대비', '좋은 대학' 등 장기적인 목표 때문일 것입니다. 어머니의 그 마음을 먼저 이해하고 있음을 어필해야 합니다.

* 가장 중요한 '대안 계획' 세우기:

* 이것이 핵심입니다. 학원을 끊는 대신 '어떻게 혼자 공부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표를 만드세요.

* 영어: "학원 대신 A 인강(혹은 B 문제집)으로 하루 1시간 30분씩 문법과 독해를 공부하겠습니다."

* 수학/역사: "학원 가는 시간(이동 시간 포함)을 아껴서, 매일 1시간씩 수학 문제집 C를 풀고, 30분씩 역사 인강 D를 듣겠습니다."

* 검증 방법: "매주 주말에 어머니 앞에서 주간 테스트를 보겠습니다." 또는 "매일 공부한 분량을 사진 찍어 인증하겠습니다."

2단계: 진지하게 대화 신청하기

준비가 되었다면, 감정적으로 격해진 순간이 아니라 두 분 다 차분한 저녁 시간이나 주말에 "드릴 말씀이 있다"고 진지하게 대화를 요청하세요.

* 싸우자는 게 아님을 분명히 하세요:

* "엄마랑 싸우려는 게 아니라, 제 생각을 진지하게 말씀드리고 상의하고 싶어서요."

* '나 전달법(I-Message)'으로 말하기:

* (X) "엄마가 등록한 학원 때문에 힘들어요."

* (O) "저는 지금 학원 방식이 너무 버겁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어요."

* 어머니의 마음 인정하기:

* "엄마가 제 걱정돼서 좋은 학원 보내주신 마음은 정말 감사하게 생각해요. 하지만..."

3단계: 준비한 '대안 계획' 발표하기

이제 감정적인 호소가 아니라, 준비한 '계획'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차례입니다.

* 현재 문제점 공유: (1단계에서 준비한 내용) "제가 이 학원을 다니면서 수학 공부할 시간이 이렇게 부족해졌어요."

* 나의 목표 공유: "저는 영어를 포기하려는 게 아니에요. 다만 지금은 수학과 역사 기초를 잡는 게 더 급하다고 생각해요."

* 구체적인 계획 제시: (1단계에서 준비한 계획표) "그래서 학원 대신 이렇게 공부해보고 싶어요. 이게 제 계획표예요."

4단계: '조건부 기간(시범 기간)' 제안하기

어머니께서 한 번에 "OK"하지 않으실 확률이 높습니다. 이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시범 기간'을 두는 것입니다.

> "어머니, 저를 한 번만 믿고 딱 한 달만 (혹은 '다음 중간고사까지만') 제 계획대로 해볼 기회를 주세요."

> "만약 이 기간 동안 제가 약속한 계획을 지키지 않거나, 오히려 성적이 더 떨어진다면, 그때는 아무 말 없이 다시 학원에 다니겠습니다."

>

이 제안은 두 가지 강력한 메시지를 줍니다.

* 자신의 계획에 대한 책임감을 보여줍니다.

* 어머니 입장에서 **'실패해도 되돌릴 수 있다'**는 안전장치를 만들어 드립니다.

요약

지금 학생분에게 필요한 것은 **'공부를 안 하겠다'**는 태도가 아니라, **'주어진 시간(24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쓰고 싶다'**는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어머니도 학생분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면 마음이 아프실 겁니다. 다만 방법을 몰라서, 혹은 불안해서 그럴 수 있습니다.

학생분이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책임질 수 있다는 믿음을 구체적인 계획과 실천으로 보여준다면, 어머니의 마음도 분명 움직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