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미국에 투자를 결정하게 되면 한국 내에 있던 자본이 미국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달러로 바뀌게 됩니다. 그에 따라 외환시장에서 달러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죠.
한국 내 자본의 이탈로 한국에 대한 투자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외국인 중 한국에 투자한 이들이 자본을 회수하게 됩니다. 역시나 외환시장에서는 달러의 수요가 증가하고 공급이 감소하게 되죠.
둘 다 외환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달러의 가치를 상승하게 하며, 그에 따라 원화 통화량의 변화가 없어도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도록 만듭니다.
결과적으로 달러 자본의 이탈에 따라 외화의 상대적 가치 상승이 원화가치 하락을 유발한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