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고등학교 생기부 중3 학생입니다.학종으로 대학을 가고 싶은데생기부가 어떤 방식으로 작성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1.

중3 학생입니다.학종으로 대학을 가고 싶은데생기부가 어떤 방식으로 작성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1. 수행평가가 끝난 뒤 그와 관련된 후속 탐구를 하라고 들었는데 이미 끝난 수행평가와 관련된 내용을 어떻게 기재하나요? 따로 보고서를 써서 내는건가요?2. 모든 과목의 세특을 원하는 전공 분야와 연관되게 써야하나요?3. 심화 탐구의 정확한 개념이 뭔가요? 전에 했던 탐구에서 더욱 발전시키는건가요? 그럼 어떻게 기존의 탐구와 연결시키나요?

1. 수행평가가 끝난 뒤 그와 관련된 후속 탐구를 하라고 들었는데 이미 끝난 수행평가와 관련된 내용을 어떻게 기재하나요? 따로 보고서를 써서 내는건가요?

-수행평가를 하고 그에 대한 세특은 교과 선생님이 작성해주십니다. 수행평가를 하고 나서 후속 탐구를 할 지 말 지는 본인의 선택이며, 후속탐구를 하고 싶다면 교과 선생님께 문의하여 후속 탐구 보고서를 제출해도 되는지 여쭤보세요. 학교마다, 그리고 선생님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가끔 써달라고 해도 안 써주시는 선생님을 만날 수도 있으나, 그것에 대해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다른 부분에서 세특을 채울 수 있도록 합시다. 수행평가만으로도 세특을 잘 써주시는 유능한 선생님들도 많으십니다.

2. 모든 과목의 세특을 원하는 전공 분야와 연관되게 써야하나요?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세특은 크게 교과와 비교과로 나뉩니다. 비교과에서 충분히 본인의 진로활동과 연계하여 쓸 수 있기에, 교과세특에서 본인의 전공을 굳이 어필할 필요는 없습니다. 요즘 트렌드는 각 과목에서 본인의 역량(국어의 경우 문학 작품을 어디까지 고찰하였는가)을 드러내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게임에서 궁극기를 중요한 한타 때 쓰는 것처럼 세특도 모든 것에 힘을 줄 필요는 없습니다.

3. 심화 탐구의 정확한 개념이 뭔가요? 전에 했던 탐구에서 더욱 발전시키는건가요? 그럼 어떻게 기존의 탐구와 연결시키나요?

-작성자 분이 말하는 심화 탐구가 어디서 쓰이는 것인지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심화 탐구의 목적은 ‘내가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을 응용하여 다른 분야에 적용해보고 싶다’ , ‘내 관심사에 대해 더 탐구해보고 싶다’ 입니다. 기존의 탐구에서 추가로 탐구하는 것이라면, 기존의 탐구에서 이런 점의 오류를 발견했고, 이를 적용하여 다시 실험을 한다거나 문과의 경우 기존의 탐구에서 더 나아가 개인의 전공을 드러낼 수 있는 키워드를 뽑아내 현재 시사문제점과 엮어낼 수 있습니다.

생기부, 세특에 대해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입시는 생각보다 깁니다.ㅎ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