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은행 고민 됩니다 현재 제가 급여를 농축협으로 받고있습니다, 남편이 10년뒤에 읍면 단위 있는

현재 제가 급여를 농축협으로 받고있습니다, 남편이 10년뒤에 읍면 단위 있는 시골로들어간다고 하여 농축협으로 급여를 받으면 나중이 좋을것 같아서 그렇게 하고 있는데요..월급을 받으면 생활비를 70정도 남기고, 남편에게 모두 이체합니다..남편이 돈관리를 하여 공과금(통신비, 보험 등 포함), 적금 등 하고 있습니다..그리고 G마켓에서 필요 용품은 신용카드로 남편이 사고 있어요.저는 생활비 받으면 집앞 마트 식재료구매하고 다이소에서 필요한것 가끔 사용하고, 병원, 정육점(찌개거리) 대부분 이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카드는 삼성페이로 많이 사용합니다.지금 집근처 걸어서 10분거리 내에 2금융권인 신협, 농축협, 새마을금고 와 우체국 이 있습니다,버스타고 20분만 나가면 우리, 신한, 국민, 하나 등 다있습니다..급여 받는 은행도 바꿀지 그대로 둘지도 고민이구요... 카드도 고민입니다. 어떤게 좋을까요??신한은행 카드 Hey Young 체크 : 다이소 1만원이상 결제시 1천원캐시백(월 5회), 삼성페이 2마원이상 결제시 1%캐시백 최대 5천원 캐시백 가능(신한 포인트는 잘안모이는것 같아요 제 기준에는요)하나은행 카드 모두의일상 체크 : 전가맹정 0.3% 적립, 삼성페이 0.4% 적립(하나은행 포인트 모으는 재미는 있습니다)농협은행 카드 무럭이 체크 : 0.2%적립, 다이소, 편의점 추가적립 0.4%(출석체크 해서 나름 포인트 잘모여요)국민은행 카드 가온체크 : 모든가맹점 0.2%적립, 주말 0.2%추가적립우체국 카드 개이득 체크 : 0.3%캐시백 네이버 멤버십 30%캐시백기업은행 카드 I-ALL 체크 : 0.2%청구할인, 카페, 쿠팡 G마켓 옥션 등 0.6%청구할인이렇게 있습니다.현재 캐시백 이나 적립 받으면 따로 돈을 적금 등 하려고 합니다.어떤게 저에게 맞는것인지 고민입니다..조언이나 추천좀해주세용

지금 상황에서는 ‘생활비 중심의 소비 패턴’ + ‘삼성페이 활용’ + ‘근처엔 농협·신협·새마을금고 중심, 도심은행은 거리 있음’ 이라는 점이 핵심이에요.

따라서 은행과 카드를 고를 때는 ① 접근성·편의성 ② 실제 소비처 혜택 ③ 포인트 활용성 이 세 가지를 기준으로 정리하면 명확해집니다.

1. 급여은행 — 그대로 농축협 유지 추천

남편과 생활비 이체 구조가 이미 농협으로 정리되어 있고, 시골로 들어갈 계획이라면 농협 급여계좌 유지가 가장 효율적입니다.

추후 읍면 단위로 들어가면 국민·신한보다 농협이 압도적으로 지점 접근성이 좋고, 각종 지역 혜택(농협 상품권, 조합원 우대금리 등)도 받을 수 있습니다.

굳이 바꾸지 말고, 필요 시 **우리·신한 등은 부계좌(세컨드 계좌)**로 온라인거래용만 만들어두면 충분합니다.

2. 소비 패턴 기준 카드 추천

생활비 대부분이 마트·다이소·식재료·삼성페이 결제 중심이라면,

‘단순 캐시백형’ 카드가 적합합니다. 포인트형은 실질 체감이 낮아요.

아래는 실제 소비 패턴별로 적합한 카드 정리입니다.

✅ 1순위: 신한 Hey Young 체크

다이소 1천원 캐시백 (월 5회 한도) → 생활 패턴에 딱 맞음

삼성페이 2만원 이상 1% 캐시백 → 병원, 정육점, 마트 결제 대부분 적용

포인트 대신 실시간 캐시백이라 체감이 큼

단점: 포인트 적립형보다 혜택 구조가 단순하지만, 실제 체감 금액은 높음

→ 현재 소비 구조에 가장 효율적입니다.

✅ 2순위: 하나 모두의일상 체크

모든 가맹점 0.3% + 삼성페이 0.4% 적립

포인트를 모으는 재미가 있고, 적립처 제한이 없음

단점: 현금 캐시백이 아니라 ‘하나머니’ 형태라 바로 쓰기보단 모아서 써야 함

→ 포인트형 선호 시 적합, 실속보단 꾸준한 적립에 좋음.

✅ 3순위: 농협 무럭이 체크

기본 0.2% + 다이소·편의점 0.4% 추가

출석체크 이벤트가 자주 있어 실질 적립률은 생각보다 괜찮음

농협 주거래라 관리가 편함

단점: 삼성페이 추가 혜택 없음

→ 농협 계좌와 연계, 관리 편하게 가고 싶으면 무럭이도 무난합니다.

3. 나머지 카드 간단 비교

국민 가온체크: 실적 조건이 단순하지만 적립률이 낮음 (총 0.2~0.4%)

우체국 개이득 체크: 네이버 멤버십 자주 쓰면 한정적으로 유리

IBK I-ALL 체크: 온라인쇼핑 중심일 때 좋지만, 실생활 결제엔 효율 낮음

→ 현재처럼 오프라인 중심 생활비 소비라면 굳이 바꿀 필요 없습니다.

4. 추천 조합

급여계좌: 농협 그대로 유지

주 생활비 카드: 신한 Hey Young 체크 (실시간 캐시백 중심)

보조카드(마트 외 기타 결제): 농협 무럭이 체크 (농협 연계 + 출석 포인트)

→ 캐시백 모인 금액은 자동이체로 소액 적금 넣으면 ‘눈에 보이는 절약 효과’가 생깁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은 네티켓입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