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고2 영어기출문제집 -일본의 대표적 왜곡된 주장들‘강제 연행했다는 기술을 찾을 수 없다’ 등

-일본의 대표적 왜곡된 주장들‘강제 연행했다는 기술을 찾을 수 없다’ 등 문서상의 근거 없음.-입증된 역사적 사실일본군 위안부 모집에 관한 공문서(1938), 도항증명서(1940) -> 강제 동원을 증명일본군 위안소 이용 규정 문서를 통해 사용시간 및 요금표 등 기록물로 존재.고노 담화(1993) 일본 정부가 1991년 12월부터 조사한 결과 발표, 위안부 문제가 군의 관여 아래 광범위하게 존재했음을 인정 -> 수많은 위안부 존재, 감언, 강압 등 본인 의사에 반한 모집 인정, 한반도 출신 비중 큼, 수많은 여성의 명예와 존엄을 크게 손상시킨 사안이라는 본질 규정-> 진심으로 사과와 반성을 표하며 역사 연구와 교육을 통해 재발 방지를 다짐.- 국제사회 대응미국 학원의 ‘위안부 관련 결의안(House Resolution 121)’: 일본군 ‘위안부’피해자 문제를 전쟁범죄이자 인권유린사건으로 규정, 일본 정부의 공식사죄, 일본 교과서 수록 등을 요구하는 미국의 결의안2007년 7월 30일 만장일치로 미국 하원 본회의에서 결의안이 채택-국내 대응수요시위1992년 1월 8일 미야자와 전 일본 총리의 방한을 계기로 시작되어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에 대한 진상 규명과 법적 책임 이행 등 문제해결, 그리고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을 요구. 세계 일본군'위안부' 기림일2012년 12월, 제1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에 참석한 8개 아시아 피해국 피해자 및 지원단체 활동가들은 고 김학순 할머니가 피해사실을 공개증언한 날인 8월 14일을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로 선포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법(위안부피해자법)1993 제정: 인도주의 보호·지원(생존자 대상) → 기본금·월 지원·의료·주거.2002 개정: ‘피해자’ 명시, 기념사업·교육·자료수집 포함.2005 개정: 명예회복·진상규명 목표, 국가의무(진상규명·교육·발굴·생활안정).2017 개정: 피해자 의견 청취·정책 공개 의무, 기림의 날 법정화, 명칭 현행화.교훈전시 성폭력은 국제인권, 국제 인도법 사안이라는 공통 인식 확립피해자 중심 접근(진실규명→공식사과·책임이행→배상·치유→기억·교육→재발방지)역사부정, 혐오 담론에 대한 근거 기반 반박과 공적 기록 아카이브의 지속적 보존과 확장 필요

자국 정부 공문서를 부정 하는놈들인데 다른것은 말할것 없음

독도는 조선 영토 이므로 일본과 아무 관계가 없다는 태정관(현재 국무 총리) 지시 문서입니다

태정관 지령

1877년 태정관은 ‘다케시마(竹島·울릉도를 지칭)외 일도(一島·독도를 지칭)는 본방과 관계없음을 명심할 것’이라는 내용의 지령을 내렸다. 이를 ‘태정관 지령’이라고 합니다

번역문

메이지 10년(1877년3월 20일)

별지로 내무성이 품의(稟議)한 동해 내 다케시마(울릉도) 외 일도(독도) 지적 편찬의 건

이는 겐로쿠 5년(1692)에 조선인이 섬(울릉도)에 들어온 이래 구 정부(에도 막부)와 조선국이 [문서를] 주고받은 결과 마침내 본방(本邦=일본)과는 관계가 없다고 들은 것을 [내무성이] 주장한 이상, [내무성의] 품의 취지를 들어 아래와 같이 지령을 내려도 되는지 품의 드립니다.

지령안(御指令案)

품의한 다케시마(울릉도) 외 일도(독도)의 건은 본방(本邦=일본)과는 관계가 없음을 명심할 것.

원문

明治十年三月廿日

別紙内務省伺日本海内竹嶋外一嶋地籍編纂之件

右ハ元禄五年朝鮮人入嶋以来旧政府該国ト往復之末遂ニ本邦関係無之相聞候段申立候上ハ伺之趣御聞置左之通御指令相成可然哉此段相伺候也

御指令按

伺之趣竹島外一嶋之義本邦関係無之義ト可相心得事

일본우익들은 조작돠고 잘못된 문서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