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온라인 쇼핑몰 에이블리 아무드 관세?세금? 이번에 온라인 쇼핑몰을 시작했는데 쇼핑몰 플랫폼 자체에서 일본으로 판매하게끔 시스템이

이번에 온라인 쇼핑몰을 시작했는데 쇼핑몰 플랫폼 자체에서 일본으로 판매하게끔 시스템이 구축되어서 한번 판매 해보려고하는데 제가 판매하는 물건은 핸드메이드 스마트톡을 판매해요 근데 이게 수출하게되면 수입신고라던지 세금이 부과되지않나요?! 저는 간이 사업자를 가지고 있는데 종합소득세 신고할때 혹시나 세금 폭탄맞을까봐요ㅠㅠ수입신고라던지 다른걸 뭐 신청하고 진행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에이블리(Amood)를 통해 일본에 핸드메이드 스마트톡을 판매하시는 것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해외 판매 시 세금과 신고 절차가 걱정되시는 것은 당연합니다. 핵심은 **'수출'**과 **'수입'**을 구분하고, 부가가치세종합소득세의 관점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에이블리 일본 판매 (Amood) 시 세금 및 신고 절차

질문자님께서는 한국의 간이과세자로서 핸드메이드 스마트톡을 **일본 소비자에게 판매(수출)**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1. 한국에서의 수출 신고 및 부가가치세

수출 시 가장 큰 혜택은 부가가치세(부가세) 영세율 적용입니다.

구분

내용

간이과세자에게 미치는 영향

수출 신고 의무

* 물품 가격 FOB 200만원 이하인 소액 물품은 '목록통관' 또는 **'전자상거래 간이수출신고'**로 처리됩니다.

* 대부분의 소액 온라인 수출은 에이블리 플랫폼이나 물류 대행사가 간이수출신고 또는 목록통관을 대행합니다.

부가세 (영세율)

* 해외로 판매하는 상품은 **부가세 0% (영세율)**이 적용됩니다.

* 간이과세자는 기본적으로 부가세 환급을 받을 수 없으며, 매출이 연 4,800만원 이하라면 부가세 납부 의무가 면제됩니다. (다만, 영세율 적용을 위해서는 수출실적을 증명해야 함)

수출 실적 인정

* 목록통관 방식으로 나가더라도 사업자등록번호와 HS코드(상품 분류 코드)를 기재하면 수출 실적으로 인정받아 정부 지원 사업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에이블리(Amood) 시스템에서 수출 신고 관련 절차를 어느 정도 지원해 줄 가능성이 높으니, 플랫폼에 문의하여 "간이수출신고를 대행해 주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일본에서의 관세/세금 (수입)

질문하신 **'관세'나 '세금'**이 세금 폭탄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습니다.

  • 관세/소비세 (일본의 수입세): 물건을 받는 **일본 수입자(소비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 관세/소비세 납부 주체: 에이블리 플랫폼이 DDP(관세 포함 인도 조건) 방식으로 판매하지 않는 한, 이 세금은 원칙적으로 일본 소비자(수입자)가 부담합니다.

  • 일본 면세 기준: 일본은 과세가격 1만 엔 이하인 수입품에 대해 관세와 소비세가 면세됩니다. 핸드메이드 스마트톡은 이 기준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에이블리(Amood)의 정산 방식: 에이블리는 환율/국제 배송비/관세 등에 따라 정산율이 변동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플랫폼이 관세/배송비를 포함하여 고객에게 청구하고 정산하는 방식일 수 있으니, 플랫폼 정책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보통은 관세가 포함되어 정산되므로 판매자에게 추가 청구될 일은 거의 없습니다.)

종합소득세 (가장 중요한 부분)

가장 우려하시는 '세금 폭탄'은 종합소득세 신고 시 발생할 수 있으며, 해외 판매도 국내 판매와 동일하게 신고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시 주의할 점 (간이과세자)

  1. 매출 합산: 국내 매출과 **에이블리 일본 판매 매출 (원화로 정산받은 금액)**을 모두 합산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2. 경비 인정: 소득세를 줄이는 핵심은 **'경비 인정'**입니다.

  • 스마트톡 제작에 사용된 재료비, 포장재비, 국내외 배송비, 에이블리 수수료 등 사업 관련 비용은 모두 경비로 인정받아 매출에서 공제해야 합니다.

  • 특히 간이과세자는 단순경비율/기준경비율을 적용받을 수 있지만, 매출액이 늘면 경비율이 줄어들어 세금이 늘 수 있으니, **적격증빙(세금계산서, 카드 영수증 등)**을 반드시 챙기셔야 합니다.

  1. 세금 폭탄 회피: 매출액 대비 경비(원가, 수수료, 배송비 등)를 정확히 입증하지 못하면, 순이익이 과도하게 산정되어 종합소득세 폭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결론 및 필수 확인 사항

  1. 세금 폭탄 우려: 일본 판매 자체로 인한 관세/수입세는 일본 소비자에게 부과되거나 소액 면세될 가능성이 높아 크게 우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세금 폭탄은 경비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을 때 발생하는 종합소득세에서 옵니다.

  2. 부가세 0%: 해외 판매는 부가세 영세율 대상이므로, 간이과세자로서 부가세 부담은 거의 없습니다.

  3. 필수 확인: 에이블리(Amood) 플랫폼에 다음 사항을 꼭 문의하시고 확인하세요.

  • "물류 대행 시 간이수출신고/목록통관을 대행해 주는지?"

  • "일본 소비자에게 부과되는 관세/소비세를 누가,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는지?" (DDP인지, 고객 착불인지 등)

해외 판매를 시작하셨으니, 이제부터는 **모든 비용 관련 증빙(영수증 등)**을 철저히 모아 두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