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현재 고1 문이과 아직 못 정했는데 한 번만 도와주세요ㅜㅜ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고1 학생입니다.올해 12월쯤 선택과목을 확정해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고1 학생입니다.올해 12월쯤 선택과목을 확정해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나중에 정하지 뭐’ 하는 마음으로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고 문과 과목들로만 채워둔 상태였습니다. 중학교 때는 공부를 특별히 잘하는 편이 아니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문과 쪽으로 방향을 잡았던 것 같습니다.그런데 고등학교에 올라와 시험을 보니, 서울 강남 자사고 기준으로 국1, 영1, 수2, 사2, 과1, 역2, 일본어1이 나왔습니다. 성적을 보니 사회나 역사보다는 과학 쪽이 더 강했고, 요즘 들어 과학 과목이 더 흥미롭게 느껴지기도 해서 ‘이과로 가는 게 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다만 지금까지는 문과 중심으로 생기부가 채워져 있어서, 이과로 전향해도 괜찮을지 걱정이 됩니다. 또, 만약 이과로 간다면 화학과 생명과학 두 과목만 선택하고 싶은데, 이렇게 하면 약간 애매한 조합이 될까 봐 고민입니다.저는 영어유치원을 다녔고 유학 경험도 있어서 영어에는 자신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과로 가면 이런 영어 실력을 살리기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걱정되는 부분은 기하, 미적분Ⅱ, 과학 과목 선행이 전혀 되어 있지 않다는 점입니다. 현재는 수Ⅱ까지만 선행이 되어 있어서, 나중에 이과 과목들을 잘 따라갈 수 있을지 많이 고민됩니다.정말 진지하게 고민됩니다 조언 좀 해주세요!

고1 학생으로서 진로 선택에 대한 깊은 고민은 당연한 일입니다. 현재 상황을 보면, 이과 진학을 적극적으로 고려해볼 만한 충분한 근거들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고등학교 성적과 흥미입니다. 서울 강남 자사고 기준으로 국어, 영어, 과학에서 1등급을 받으셨고, 특히 과학 과목에서 흥미를 느끼신다는 점은 이과 계열에 대한 타고난 재능과 적성을 보여주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중학교 때의 학습 경험보다는 현재 자신의 강점과 끌림을 따라가는 것이 장기적인 만족과 성공에 더 큰 영향을 미 미칩니다. 아직 고1이므로 생기부가 문과 위주로 채워져 있다 해도, 앞으로의 활동으로 충분히 이과 방향으로 전환하고 보완할 수 있습니다.

화학과 생명과학 두 과목만 선택하는 것이 애매하다고 여기시는 부분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많은 의학, 약학, 생명공학, 식품영양 등 생명과학 및 바이오 관련 계열에서는 이 두 과목을 심층적으로 다루기 때문에 오히려 유리한 조합이 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본인이 진정으로 어떤 분야에 흥미를 느끼고, 어떤 전공으로 나아가고 싶은지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목표가 있다면 어떤 조합도 애매하지 않고 자신만의 강점이 됩니다.

영어 실력을 이과에서 활용하기 어렵다는 생각은 큰 오해입니다. 현대 과학과 공학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최신 정보는 대부분 영어로 생산되고 공유됩니다. 연구 논문, 전공 서적, 국제 학술 교류 등 모든 면에서 뛰어난 영어 실력은 이과 전공자에게 엄청난 경쟁력이자 필수적인 자산이 됩니다. 오히려 강한 영어 실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기회가 더 많다고 봐야 합니다.

선행 학습이 전혀 되어 있지 않은 기하, 미적분Ⅱ, 과학 과목들에 대한 걱정은 현실적인 문제이지만, 고1이라는 시점은 충분히 극복 가능한 때입니다. 지금부터라도 계획을 세워 집중적으로 학습한다면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수학Ⅱ까지 선행이 되어 있다면 기본적인 수학적 사고력은 갖추고 계신 것이니, 이를 기반으로 심화 과목에 도전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방학 기간을 활용하거나, 인강 등의 보충 학습을 통해 격차를 줄여나가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흥미와 강점을 믿고 이과 진학을 선택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것은 확신과 꾸준한 노력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