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자연에 진심인 청년 기업 그린파머스 팀입니다.^^
좋은 질문이에요.
결론부터 말하면, **“미적분Ⅱ를 반드시 해야 경제학과에 갈 수 있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어디까지 목표하느냐**에 따라 답이 달라집니다.
1. **일반 대학(중상위권 이하)**
경제학과 입시에서 **미적분Ⅰ만 해도 충분히 지원 가능합니다.**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미적분Ⅰ 정도만 이수해도 입시에 불이익은 거의 없습니다.
실제 대학들은 ‘미적분Ⅱ 이수 여부’보다는 ‘수학 성취도’를 더 중요하게 봅니다.
2. **상위권 대학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이 경우엔 다릅니다.
경제학과가 수리적 사고를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입시요강에서 **미적분Ⅱ를 포함한 심화수학 이수를 권장**하거나
심지어 **수능 미적분 선택자에게 가산점을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3. **대학 이후를 생각하면**
경제학 전공에서는 미적분Ⅱ 내용(적분 응용, 수열 극한, 미분방정식 기초 등)이
‘미시경제학’이나 ‘거시경제학’에서 직접적으로 쓰입니다.
그래서 입시에는 큰 영향이 없어도,
**대학 수업을 따라가기엔 미적Ⅱ가 확실히 도움이 됩니다.**
정리하면
- 입시만 본다면: “안 해도 불이익 거의 없음”
- 상위권 대학 목표라면: “이수하는 게 유리함”
- 대학 공부 대비 측면에서는: “배워두면 나중에 훨씬 수월함”
지금은 예습이 어렵다면,
일단 미적Ⅰ을 확실히 다지고 여름방학쯤 미적Ⅱ를 자율학습으로 훑어보는 방법도 좋아요.
입시는 단기전이지만, 경제학은 긴 여정을 보는 공부라서
기초를 튼튼히 하는 게 결국 제일 유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도움 되었다면 채택 부탁드리고
궁금하신 점 추가질문 또는 댓글 주세요 ^^
채택 시, 질문자님의 내공은 50% 환급되며,
('채택'으로 받는 해피빈 콩은 어려운 이웃들에게 기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