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청년도약계좌 vs ISA 계좌 안녕하세요! 올해 9월에 전역하고 현재 휴학 중인 대학생입니다. 지금까지 모은

안녕하세요! 올해 9월에 전역하고 현재 휴학 중인 대학생입니다. 지금까지 모은 돈 중에서 1,000만원 정도는 여유를 가지고 굴려나가고 싶습니다. 적은 돈이지만 어떻게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지 고민 중입니다. 지금 고민하고 있는 건 청년도약계좌와 ISA 계좌 중 어떤 걸 개설할지 고민 중입니다.. 지금까지 가입했던 예/적금 상품은 없고 청년도약계좌 개설이 처음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가구원 동의까지 완료한 상태이며 결과 기다리고 있습니다. ISA 계좌는 유튜브를 보며 알게 되었는데 투자 중에서도 안전하고 크게 어렵지도 않아보여서 솔깃한 상태입니다. 지금 하고있는 알바가 없는 상태로 고정적인 수입이 없는 상태라는 점에서 가장 고민되는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올해가 마지막이라고 하는데... 내년에 복학하게 되면 5년동안 70만원이라는 돈을 꾸준히 넣을 수 있을지 잘 모르겠고 청년미래적금은 언제 출시될지 불분명한 상황이라 더욱 고민이 됩니다. 그래도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는 게 일단은 우선일까요...? 아니면 그냥 ISA계좌 개설 후에 공부하며 ETF에 투자해볼까요.. 조금 바보같은 글이자 질문이지만 그래도 너그러운 마음으로 조언 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안녕하세요 먼저, 이렇게 진지하게 재테크를 고민하고 계신 모습에 정말 감탄했어요.

전역하고 휴학 중인 시기에 모아둔 1,000만원을 현명하게 굴려보려는 마음, 정말 멋진 시작이에요!

질문을 하나하나 짚어보면서 도움을 드릴게요.

1. 청년도약계좌 vs ISA 계좌, 어떤 게 더 좋을까?

두 계좌 모두 절세 혜택이 있다는 점은 같지만, 목적과 성격이 조금 달라요.

✅ 청년도약계좌

  • 저소득 청년을 위한 정부지원형 적금

  • 매달 최대 70만원 납입 가능, 정부지원금 + 이자 지급

  • 5년 만기 상품

  • 중도해지 시 정부지원금은 회수

  • 수익보다 안정성과 저축 습관에 초점

  • 일정 소득 요건 만족해야 함 (고정 수입이 적으면 지원금 수령이 어려울 수 있음)

✅ ISA 계좌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예금, 펀드, ETF 등 다양한 금융상품 투자 가능

  • 세금 혜택: 수익의 일정 부분 비과세, 나머지는 저율 분리과세

  • 자유롭게 입출금 가능, 운용 방식 자유로움

  • 투자 공부하면서 시작하기 좋음

  • 고정 수입이 없어도 개설 가능

2. 질문자님의 현재 상황에서 어떤 선택이 좋을까?

현재 상황을 다시 보면:

  • 전역 후 휴학 중인 대학생

  • 고정 수입 없음 (알바 X)

  • 청년도약계좌는 신청 완료, 결과 대기 중

  • 투자 공부 의지 있음, ISA 관심 있음

이런 조건이라면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이 추천드릴 수 있어요.

추천 순서

1단계) 청년도약계좌 결과 확인 후 ‘조건 만족’ 시 개설하기

→ 어차피 올해가 마지막 기회이기도 하고, 정부지원금만 해도 연 최대 240만원이기 때문에,

조건이 맞는다면 무조건 개설해두는 게 유리해요.

단, 고정 수입이 없어 정부지원금을 못 받을 경우에는 장점이 줄어들 수 있어요.

2단계) 청년도약계좌 납입금 부담된다면 ‘최소 금액’으로 유지하며 ISA 병행하기

→ 청년도약계좌는 월 10만원부터도 납입 가능해요.

무리하지 않고 소액으로 유지하면서 남는 돈은 ISA 계좌로 ETF 분산 투자해보는 것도 좋아요.

3단계) ISA로 투자 공부하며 실전 감각 익히기

→ ETF는 공부할수록 재미도 있고, 복학 후 알바 등 수입이 생기면 본격적인 투자도 가능해져요.

초반에는 소액으로, 우량 ETF 위주로 투자 연습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결론적으로 요약하면:

  1. 청년도약계좌 개설 결과가 '승인'이면, 무조건 개설! (월 10만원부터 시작해도 돼요)

  2. 여유 자금은 ISA 계좌에서 ETF 등으로 분산 투자하면서 경험 쌓기

  3. 향후 고정 수입이 생기면 청년도약계좌 납입 금액 늘려도 늦지 않아요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블로그에서도 참고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