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B형 간염 예방 접종 시기는 언제인가요? 제가 알기로 B형 간염 예방 접종은 보통 출생 직후부터 시작된다고

제가 알기로 B형 간염 예방 접종은 보통 출생 직후부터 시작된다고 들었는데요. 제 조카가 태어나서 첫 번째 접종 시기가 언제인지 궁금합니다. 조카의 백신 접종 일정을 관리하면서, 저도 그 시기에 맞춰 예방 접종을 받을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B형 간염 예방 접종은 몇 회에 걸쳐 이루어지며, 각 접종 사이의 간격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성인이 된 후에도 접종이 필요한 경우가 있거나, 이미 감염된 사람에게 주는 예방 접종의 효과에 대해서도 좀 더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B형 간염은 간암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바이러스성 간염이기 때문에 신생아부터 성인까지 예방 접종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조카의 백신 일정과, 질문자님이 성인으로서 어떻게 관리하면 좋은지도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1. 신생아 B형 간염 예방 접종 시기

B형 간염 백신은 총 3회에 걸쳐 맞게 됩니다.

신생아 시기에는 아래와 같은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 1차: 출생 직후 24시간 이내

  • → 출산한 산부인과에서 바로 접종합니다.

  • → 엄마가 B형 간염 보균자(HBsAg 양성)일 경우,

  • 백신과 함께 ‘HBIG(면역글로불린)’을 함께 투여합니다.

  • 2차: 생후 1개월 후

  • → 보통 1차 접종일로부터 4주(1개월) 후 접종합니다.

  • 3차: 생후 6개월 후

  • → 2차 접종 후 4~6개월 뒤에 맞습니다.

  • → 보통 생후 6개월 전후로 마무리되죠.

즉, 조카의 경우

출생 직후 → 생후 1개월 → 생후 6개월

이렇게 총 3회 접종이 완료됩니다.

2. 성인의 B형 간염 접종 시기

성인에게도 B형 간염 항체가 없는 경우, 똑같이 3회 접종(0-1-6개월 간격) 으로 맞습니다.

  • 1차 : 접종 첫날

  • 2차 : 1차 후 1개월

  • 3차 : 1차 후 6개월

  • → 이렇게 총 3회면 완전한 면역이 형성됩니다.

항체 검사(anti-HBs) 를 먼저 받아서 항체가 있으면 접종이 필요 없고, 없으면 위 일정대로 맞으면 됩니다.

3. 이미 B형 간염에 감염된 경우엔?

이미 감염된 사람(HBsAg 양성)은 백신을 맞아도 효과가 없습니다.

이 경우에는 예방이 아니라 관리가 중요합니다.

  • -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AST, ALT 등)

  • - B형 간염 DNA 검사로 바이러스 활성 확인

  • - 간 전문의(내과·감염내과) 진료 정기적 추적

백신은 “감염 전 예방용”이기 때문에, 이미 감염된 사람에게는 효과가 없습니다.

4. 성인이 추가 접종이 필요한 경우

보통은 3회 접종으로 평생 항체가 유지되지만, 항체가 떨어진 경우(anti-HBs < 10 mIU/mL)는 1회 추가 접종(부스터샷) 으로 충분히 회복됩니다.

특히 의료 종사자, 간호사, 해외 거주자 등은 주기적인 항체 검사와 추가 접종이 권장됩니다.

정리하면

  • - 신생아: 출생 직후, 1개월, 6개월 → 총 3회

  • - 성인: 0개월, 1개월, 6개월 → 총 3회

  • - 감염된 사람: 예방 접종 효과 없음 (정기 추적검사 필요)

  • - 항체 없는 성인: 항체 검사 후 접종 필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