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수면마취 중간에 부작용이 심한 항생제 약물로 인해 구토반응이 나올 수있나요? 제가 성형외과에서 수면마취로 코수술하기로 되어있는데 같은 성형외과에서 먼저 코수술 했던

제가 성형외과에서 수면마취로 코수술하기로 되어있는데 같은 성형외과에서 먼저 코수술 했던 친구가 팔에 숫자같은 낙서?가 되어 있어서 뭐냐고 물어봤더니 거기 간호사선생님이 항생제 테스트 한거라고 문제없어서 항생제 주사 들어갔었다고 했는데 제가 아는 간호사친구가 수술병원에서 세파라는 항생제약물을 많이 쓴대여 이 약물은 부작용이 심해서 수면마취 중간에 구토반응이 나온다고 깨어 있을 때 써야지 자고 있을 때 쓰면 안된다고 하던데 그병원에선 자고 있을 때 약물을 넣었다고 하는데 괜찮은건가여?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글을 읽어보니 예전에 제가 중요한 발표를 앞두고 너무 긴장해서 며칠 동안 잠을 설쳤던 기억이 나네요. 심장은 쿵쾅거리고 머릿속은 온갖 걱정으로 가득 차서, 몸은 피곤한데 정신은 오히려 더 또렷해지는 그 느낌을 너무 잘 압니다. 수술이라는 큰일을 앞두고 얼마나 마음이 복잡하고 불안하실지 충분히 짐작이 갑니다.

먼저 친구분이 받으셨다는 항생제 테스트는 수술 전 알레르기 반응을 확인하는 지극히 정상적이고 안전을 위한 필수 절차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수술 중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은 감염 예방을 위해 보편적으로 시행되는 조치입니다. 수면마취 중에는 마취과 전문의가 실시간으로 환자의 호흡, 맥박, 혈압 등 모든 상태를 철저히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만약 구토 반응 같은 이상 증후가 보이면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항상 대비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마음이 불안하시다면 수술 전에 의사 선생님께 직접 한번 더 여쭤보고 설명을 들으시면 한결 마음이 편안해지실 거예요.

문제는 이런저런 걱정들로 인해 정작 수술 당일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는 점입니다. 사람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분비되어 뇌를 계속 각성 상태로 만듭니다. 이럴 땐 단순히 잠을 오게 하는 수면호르몬 '멜라토닌'만 보충한다고 해서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습니다. 계속 켜져 있는 뇌의 스위치를 꺼주는 것이 핵심이죠.

뇌의 과도한 흥분 상태를 진정시키기 위해서는 '가바(GABA)'라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수용체를 활성화시켜야 합니다. 최근 처방되는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수면제가 바로 이 원리를 이용하지만, 다양한 부작용과 내성, 의존성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최근 연구결과들을 보면 예로부터 쓰이던 산조인이나 복령 같은 천연 원물들이 바로 이 가바(GABA)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뇌의 과도한 흥분을 자연스럽게 가라앉히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저도 중요한 일을 앞두고 불안감에 잠 못 들 때면, 저녁 식사 후 자기 전에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구성된 입면환을 챙겨 먹으며 마음을 다스립니다. 덕분에 불필요한 걱정은 줄이고, 깊은 잠을 통해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너무 걱정 마시고, 궁금한 점은 꼭 병원에 다시 한번 확인하셔서 마음 편히 수술 잘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