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주제이네요. 중소도시에서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거나 활성화하는 데 참고할 만한 도서들을 몇 권 추천드릴게요. (국내 자료와 영문 자료를 섞어서요.)
추천 도서 및 자료
제목 | 저자/발행처 | 주요 내용 / 참고할 점 |
문화콘텐츠의 지역기반 연구 | 최예정 | 지역 문화산업과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방식, 공연장·공연단체·문화교육 기반 등 실질적 접근 방식 제시 (교보문고) |
지역 특성을 고려한 문화기반시설 배치 방안 연구 | 양혜원 등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한국의 지역 여건을 고려한 문화시설 배치 전략과 사례 중심 연구 (교보문고) |
The Cultural Infrastructure of Cities | 편집: 여러 저자 | 도시 문화 인프라의 개념적 틀과 실제 사례를 다룸. 공연 공간, 미술관, 커뮤니티 공간 등 다양한 유형 인프라에 대한 분석 포함 (Columbia University Press) |
Small Cities: Urban Experience Beyond the Metropolis | David Bell, Mark Jayne 외 | 중소도시의 문화 기반 계획, 정체성, 문화 인프라와 재생 전략 등을 다룸 (Routledge) |
Cultural Political Economy of Small Cities | (저자) | 중소도시의 문화와 경제적 관점, 거버넌스와 문화 자원 배치 등을 다룸 (아마존) |
The City in History | Lewis Mumford | 도시의 역사적 흐름과 공간 만들기, 인간과 문화가 공간에서 어떻게 펼쳐지는지 큰 틀에서 사고할 때 유용한 책 (위키백과) |
Home from Nowhere: Remaking Our Everyday World for the Twenty‑First Century | James Howard Kunstler | 인간 중심의 도시 설계와 공공 공간 회복에 대한 통찰이 중소도시 문화 공간 설계 시 생각할 거리를 줌 (위키백과) |
도서 활용 팁 & 참고 방향
먼저 한국 사례 중심의 도서를 통해 지역 맥락, 제도, 법규, 정책 여건 등을 이해하시는 게 좋아요 (“문화콘텐츠의 지역기반 연구” 등).
그 다음 영문/국제 자료를 통해 다양한 도시 사례를 보면서 전략과 아이디어를 얻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도서로 얻은 이론을 바탕으로 해당 고등학교가 속한 도시의 인구 규모, 재정 여건, 기존 시설 등을 조사해서 맞춤형 제안을 만들어 보시면 좋습니다.
도서 외에도 학술 논문, 정부 보고서, 지방자치단체 문화정책 자료 등을 병행하면 더 풍부한 자료가 될 거예요.
필요하시면 한국어로 된 자료 위주로 더 찾아드릴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