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가장 좋아하는 친구한테 부담을 주지 않는법 제 친구중에 4년지기 친구가 있는데요 저는 그 친구에게 저말 의지를

제 친구중에 4년지기 친구가 있는데요 저는 그 친구에게 저말 의지를 많이 해요 제가 2년전에 다른 지역으로 전학을 가면서 적응도 안되고 많이 힘들어했는데 그 친구가 항상 제 곁에 있어줬고 제 가정사에 관한 고민도 잘 들어주고 공감을 잘 해줬어요 근데 제가 이 친구한테 의지를 너무 많이 하는게 제 스스로도 느껴져요 이 감정을 조절하려고해도 잘 안되고 그냥 이 친구만 생각하면 항상 고맙고 미안하고 애틋한 마음만 들고요 근데 친구는 저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요 예전에 서로 편지 써주기를 했는데 그 친구가 저한테 항상 행복했으면 좋겠다고 적었거든요 아직도 그 생각이 그대로인지 궁금해요 근데 저는 친구한테 미안한것도 많고 전화 하면 얘는 야구얘기 밖에 안해서 야구를 안보는 저는 대답도 좀 대충하게 돼요 그래서 저에대한 친밀감이 식었을까요?..ㅜㅜ 저는 진짜 얘 없으면 못살거같은데 친구한테 이걸 물어보는건 좀 그런것같고 다른 방법을 알려주세요…ㅜㅜ

오랜 친구와의 관계에서 그런 마음이 드는 건 정말 자연스러운 일이에요.

특히 전학으로 환경이 바뀌고 외로움이나 불안이 커질 때, 자신을 이해해주는 한 사람이 곁에 있다는 건 큰 위로가 되죠.

그만큼 질문자님에게 그 친구는 ‘마음의 버팀목’이 되어준 사람이라 애틋함이 깊어질 수밖에 없어요.

하지만 한 사람에게만 의지하다 보면, 관계가 편안하면서도 동시에 부담이 생길 수 있어요.

친구가 싫어한다는 뜻은 아니지만, 가끔은 스스로의 감정이 너무 집중되면 상대방이 ‘내가 꼭 도와줘야 하는 사람’처럼 느낄 수도 있거든요.

그럴 때는 ‘의지’를 ‘공유’로 바꿔보는 게 좋아요.

예를 들어, 힘든 일만 털어놓는 대신 일상적인 대화나 가벼운 이야기, 웃긴 얘기 등을 함께 나누는 거예요.

친구의 관심사인 야구 이야기가 나올 때도 “난 야구 잘 모르는데, 너는 왜 그렇게 좋아해?”처럼 진심으로 궁금한 마음을 표현하면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또 하나 도움이 되는 방법은 ‘감정의 방향’을 조금 나눠주는 거예요.

모든 고민을 한 친구에게만 이야기하기보다, 가족이나 다른 친구, 혹은 글쓰기나 운동 같은 활동을 통해 감정을 분산시키는 겁니다.

이건 친구에게서 마음을 떼자는 게 아니라, 질문자님이 더 단단해지기 위한 연습이에요.

그렇게 하면 친구와의 관계도 훨씬 건강하고 오래 유지될 수 있어요.

친구가 예전에 쓴 편지에서 “항상 행복했으면 좋겠다”고 적은 건, 그 마음이 지금도 변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아요.

다만 표현 방식이 예전과 조금 달라졌을 뿐이에요.

야구 이야기를 하는 것도, 그 친구가 편하게 느끼기 때문일 수 있어요.

대답이 서툴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진심이 있다면 관계는 쉽게 식지 않습니다.

지금처럼 친구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 자체가 이미 좋은 관계의 증거예요.

그 마음을 조금만 가볍게 나누면, 친구도 부담 없이 오랫동안 곁에 머물 거예요.

이 답변이 혹시 도움이 됐다면, 답변 채택과 ‘좋아요’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