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이거 답변 길게 쓸쑤 있나요 동남아 에다 투자하는 기업 많은데,왜 발칸반도는 투자 딱히 안해요?

동남아 에다 투자하는 기업 많은데,왜 발칸반도는 투자 딱히 안해요?

ꕤ 고래티켓 답변 :

발칸반도가 동남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자가 적은 이유는 정치·경제적 리스크, 인프라 부족, 시장 규모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1. 정치·안보 불안정성

• 역사적 갈등: 코소보, 보스니아 등에서의 민족·종교 분쟁 잔재로 사회적 긴장이 잔존합니다.

• 정부 정책 변동성: 일부 국가(예: 북마케도니아)에서 정권 교체 시 정책 급변 가능성이 높습니다.

• EU 가입 지연: 크로아티아(2013년 가입)를 제외하고 대부분 국가의 EU 가입이 지연되며 규제 불확실성이 큽니다.

2. 시장 규모의 한계

• 인구 및 수요 부족: 발칸 6개국(알바니아, 북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등) 총 인구는 약 1,200만 명으로, 동남아 주요 국가(베트남 1억 명 등)에 비해 규모가 작습니다.

• 구매력 약화: 1인당 GDP가 1만 달러 미만으로 소비 시장이 협소합니다.

3. 인프라 및 비즈니스 환경

• 낙후된 교통망: 철도·도로가 부족해 물류 비용이 높습니다(예: 세르비아의 화물 운송 시간 2배).

• 관료주의: 행정 절차가 복잡하고 부패 인식 지수(CPI)가 동남아보다 낮은 국가(예: 보스니아 CPI 45점 vs 베트남 48점)가 많습니다.

• 에너지 의존도: 화석 연료 수입 비중이 높아 제조 원가 경쟁력이 떨어집니다.

4. 투자 인센티브 부재

• 세제 혜택 미미: 동남아가 외국인 투자자에게 법인세 감면(인도네시아 12.5%~22%) 등을 제공하는 반면, 발칸은 평균 10~15%로 큰 차이가 없습니다.

• 산업 클러스터 미비: 베트남(삼성 전자 클러스터), 인도네시아(니켈 가공)와 달리 특정 산업의 집적 효과가 약합니다.

5. 지리적 접근성

• 유럽 시장 진출의 한계: 발칸은 EU 진입 장벽(예: 관세)이 잔존하지만, 동남아는 RCEP 체결로 글로벌 공급망 편입이 용이합니다.

• 물류 허브 기능 약함: 싱가포르·말레이시아와 달리 발칸은 해상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간단히 말해, 발칸은 "안정성 부족 + 시장 협소 + 인프라 부족"이라는 3중 고리를 해결하지 않는 한 동남아 수준의 투자 유치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채택 한 번 부탁드립니다!! ><{{{._____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