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고등학생 진로상담 진지하게 해주실 분(답변 많이많이 해주세요ㅠㅠ 작은 한마디 조언도 좋아요 안녕하세요! 저는 한 지방외고에 진학중인 고1입니다.저는 초6부터 꿈이 영어선생님이었어요. 중고등학교

안녕하세요! 저는 한 지방외고에 진학중인 고1입니다.저는 초6부터 꿈이 영어선생님이었어요. 중고등학교 영어선생님이라는 꿈을 가지고 고등학교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사실 가족들의 이야기를 듣고 저도 맘에 든다고 생각해서 막연하게 정해졌던 진로인데 중학생 때부턴 이 진로가 바뀔 거라는 생각은 전혀 못 했어요. 근데 고등학교에 입학하고 더 큰 세상, 많은 친구들을 보다보니 제가 우물 안 개구리였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점점 진로에 대한 확신이 없어지기 시작했어요. 친구들의 진로를 듣고 세상의 현실도 느끼다보니까 그런 것 같아요. 그리고 선생님은 너무 반복되는 하루와 적은 연봉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직접 선생님들께 여쭤도 보니 그렇다고 하셨구요.. 저는 돈도 많이 벌고 좀 더 즐거운 일을 하고싶어요ㅠㅠ 그래서 제가 몇가지 후보를 좀 생각해봤는데 승무원, 마케팅, PD, 방송\PD작가 아직은 이렇게밖에 생각을 못하긴 했어요. 지금까지 한 진로만 바라보고 와서 그런지 여러분야 지식도 없고 또 어떤 다양한 일이 있는지도 잘 모르겠네용.. 그런데 승무원은 또 엄청난 승무원의 역량을 보는 그런 면접들 때문에 엄두가 안 나긴 해요.. 여러 진로 방향들을 생각해봐도 확 꽂히는게 없고 제 이 초졸한 성적으로 도전이라도 할 수 있을까 싶고 제가 그런 일들을 감당할 수 있는 사람일까 의심이 자꾸 들어요.. 아무튼!! 고딩의 주절주절 긴 고민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럴땐 어떻게 해야할까요.. 여러분들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실 것 같나요?!

지방 외고에 재학 중인 고1 학생이시군요. 오랜 꿈이었던 영어 선생님이라는 진로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더 넓은 세상을 보며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용기가 정말 대단합니다. 스스로를 '우물 안 개구리'라고 표현했지만, 사실은 지금이야말로 세상을 향해 눈을 뜨고 있는 가장 중요한 성장 시기입니다.

'돈도 많이 벌고 좀 더 즐거운 일'을 하고 싶다는 솔직한 마음과, 동시에 새로운 분야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것은 당연합니다. 고1이라면 누구나 하는 고민이니 너무 불안해하지 마세요.

1. 지금 당장 멈춰야 할 것과 시작해야 할 것

멈춰야 할 것: '정답 찾기'와 '자책'

  • '정답' 찾기: 고1에게 '딱 맞는 직업'이라는 정답은 없습니다. 직업은 경험하며 만들어가는 것이지,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닙니다. 당장 진로를 결정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버리세요.

  • 자기 의심: "내가 감당할 수 있을까?"라는 의심은 성장을 막습니다. 지금은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와 **'무엇을 잘 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시기입니다.

시작해야 할 것: '탐색'과 '재료 모으기'

  • 진로 탐색의 재료 모으기: 진로를 결정하는 것은 **'나 자신'**이라는 재료가 충분할 때 가능합니다. 지금부터 2학년 1학기까지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나만의 재료(경험과 지식)**를 모으는 데 집중하세요.

  • 외고의 장점 활용: 외고는 어학 능력과 인문학적 사고를 키우는 데 최적화된 곳입니다. 이 강점을 살려 어떤 직업이든 연결고리를 찾는 훈련을 시작하세요.

2. 제시한 직업군 분석 및 외고생의 강점

승무원, 마케팅, PD/작가 등 제시한 직업 후보들은 모두 **'사람과의 소통'과 '매력적인 콘텐츠 생산'**을 필요로 합니다. 이 분야들에서 외고생인 질문자님이 가질 수 있는 강점을 분석해 드릴게요.

직업 후보

핵심 역량

외고생의 강점

승무원 면접에 대한 부담

승무원

외국어 능력, 서비스 정신, 위기 대처 능력

압도적인 외국어 능력은 큰 무기. 외항사 진출 시 유리.

면접은 **'준비된 이미지'**입니다. 지금부터 억지로 꾸미려 하지 말고, 언어 구사력을 최고의 경쟁력으로 키우세요.

마케팅

트렌드 분석, 소비자 심리 이해, 기획력, 외국어

글로벌 마케팅, 해외 시장 분석 능력에서 유리.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설득하는 능력이 핵심입니다.

PD/방송작가

스토리텔링 능력, 기획력, 인문학적 소양

인문학적 깊이와 다양한 문화 이해도가 콘텐츠 기획에 도움.

PD는 체력과 열정이 중요하며, 작가는 관찰력과 글쓰기 능력이 핵심입니다.

작은 한마디 조언: '가장 돈이 많이 벌리는 일'의 본질

'돈을 많이 벌고 싶다'는 목표는 현실적이고 좋습니다. 돈을 많이 버는 직업은 결국 '남들이 하기 어렵거나(전문직)', '대중에게 큰 영향력이나 즐거움을 주거나(PD, 마케팅)', '대체 불가능한 능력을 가졌을 때(고급 인력)' 가능합니다.

질문자님이 가진 **'외국어 능력'**을 이 세 가지 범주 중 하나에 연결시키면 고수익 직업의 가능성이 열립니다.

3. 고1, 남은 학교생활 전략

진로에 대한 확신이 없을 때 가장 좋은 전략은 **'가능한 한 많은 문을 열어두는 것'**입니다.

3-1. 교과 활동: '외국어' 강점 유지

  • 영어: 최상위권 성적을 유지하여 본인의 기초 경쟁력을 흔들리지 않게 하세요.

  • 수학/과학: 문과 성향이더라도 수학/과학을 완전히 놓아서는 안 됩니다. 특히 마케팅이나 PD 분야에서는 통계적 사고, 논리력이 중요합니다. 최소한의 등급(3~4등급 이내)을 유지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3-2. 비교과 활동: '경험 재료' 쌓기

제시한 직업군과 관련된 활동을 생기부에 남겨서 진로의 유연성을 확보하세요.

목표 직업

관련 활동 예시

마케팅/PD

광고/미디어 관련 동아리 참여. 사회 트렌드(SNS, OTT) 분석 보고서 작성. 외국어를 활용한 글로벌 마케팅 사례 조사.

승무원/서비스

교내 멘토링/도우미 활동, 외국어 봉사 활동 등 소통과 친절함을 보여줄 수 있는 활동에 적극 참여.

작가/기획

교지 편집부 활동, 신문 스크랩 활동, 주제를 정해 에세이나 칼럼을 꾸준히 작성하는 활동.

3-3. 대학 진학 방향 설정

현재는 **'수시(학생부종합전형)'**에 유리한 활동을 하면서 '영어'와 '탐구' 과목을 중심으로 수능 공부를 병행하세요. 외고생은 인문학적 역량이 풍부하므로, 어문계열,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심리학과 등 다양한 문과 계열 학종을 노려보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고1은 꿈이 바뀔 때입니다. 지금 느끼는 혼란은 성장의 신호입니다. 선생님을 하겠다는 생각이 나쁘지 않았던 것처럼, 다른 직업들도 직접 경험하고 파헤쳐보면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이 직업에 필요한 지식은 뭘까?'**라는 호기심을 갖고 앞으로 1년 동안 학교 활동을 통해 실제 경험 재료를 쌓아보세요. 답은 활동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찾아질 것입니다.

https://blog.naver.com/kimrayn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