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사회시간에 하는건데 도와주세요.. 에스파냐-바스크 분리주의 운동'과 '서사하라분쟁'의 발생 원인과 행위 주체별(국가,국제기구,비정부 기구등) 해결방안을

에스파냐-바스크 분리주의 운동'과 '서사하라분쟁'의 발생 원인과 행위 주체별(국가,국제기구,비정부 기구등) 해결방안을 알려주세요..

두 주제 모두 “민족·지역 정체성과 자원, 정치적 자치 요구”에서 비롯된 분쟁입니다. 핵심을 정리해드릴게요.

① 에스파냐–바스크 분리주의 운동

발생 원인: 바스크 지역은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지닌 집단으로, 역사적으로 스페인 중앙정부와 독립·자치권을 두고 갈등이 있었습니다. 특히 프랑코 독재 시절(1939~1975)에 바스크 언어와 문화가 강하게 탄압되면서 저항이 격화되었고, 무장조직 ETA가 테러를 벌이며 분리주의가 국제적으로 알려졌습니다. 민주화 이후 자치권이 확대되었지만 여전히 완전 독립을 원하는 세력이 존재합니다.

해결 방안:

국가 차원: 스페인 정부는 자치권 확대, 언어·문화 보장, 경제적 권한 일부 이양 등을 통해 분리 요구를 완화하려고 했습니다.

국제기구: 유럽연합은 회원국 내 분리 독립 움직임에 대해 직접 개입하지 않으면서도, 민주적 절차와 인권 보장 원칙을 강조하며 평화적 해결을 유도했습니다.

비정부기구: 인권단체, 평화단체가 ETA의 무장 투쟁 종식을 촉구했고, 대화와 협상을 통한 정치적 해결을 지원했습니다. 결국 ETA는 2011년 무장투쟁 종식을 선언했습니다.

② 서사하라 분쟁

발생 원인: 서사하라는 스페인 식민지였으나 1975년 스페인이 철수하면서 모로코와 모리타니가 영유권을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현지 민족주의 세력인 ‘폴리사리오 전선’은 독립 국가 수립(사라위 아랍민주공화국)을 선포하며 무력 충돌이 시작되었습니다. 서사하라는 인산염 등 자원이 풍부해 이해관계가 얽혀 있습니다.

해결 방안:

국가 차원: 모로코는 자국 영토 편입을 주장하며 행정적으로 지배를 강화했고, 폴리사리오 전선은 알제리의 지원을 받아 독립운동을 지속했습니다.

국제기구: 유엔은 1991년 정전협정을 중재하고 주민투표를 통한 해결을 추진했지만, 영토 귀속 문제와 유권자 범위 합의가 안 되어 아직도 투표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신 유엔 서사하라 임무단(MINURSO)을 파견해 정전 감시와 협상 지원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비정부기구: 국제 인권단체와 구호단체가 난민캠프 지원, 인권 침해 감시 활동을 하며 분쟁의 평화적 해결과 주민의 권리 보장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정리하면, 두 사례 모두 지역 고유 정체성·자치 요구와 자원·영토 이해관계가 원인이며, 국가·국제기구·NGO는 각각 대화 촉진, 자치 보장, 인권 보호와 구호 활동을 통해 평화적 해결을 모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