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지피티한테 물어보면 잘 알려줍니다.
챗지피티가 헛소리하면 제미나이로 하면 됩니다. 제미나이가 챗지피티보다 더 잘합니다.
일론 머스크의 그로크도 써보세요.
인공지능은 한 대 돌리기보다는 여러 대 돌리는 것이 더 좋습니다.
일단 주식은 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없어져도 상관 없는 금액만큼만 하세요.
우리나라에는 투자 공부를 해서 주식하는 사람들이 5퍼센트밖에 안 된다고 합니다. 나머지 95퍼센트는 공부도 안 하고 그냥 복불복으로 냅다 하는 거죠. 그래서 공부 조금만 해도 주식 상위 5퍼센트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추천하는 책은
<거인의 포트폴리오>, <하면된다 퀀트투자>
같은 책들입니다.
그리고 <슬기로운 퀀트투자>는 고등학교 수학만 알아도 할 수 있는 자동매매를 알려줍니다.
주식하다보면 맨날 주식 가격 확인하고 그래야 하는데 그러기 귀찮고 시간 아깝잖아요. 국영수 공부하기도 바쁜데요.
근데 컴퓨터로 주식하면 자동으로 다 해결해줘서 시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동네 도서관 가면 책 많습니다.
투자하는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패시브 투자 : 주식 평균보다 더 높은 수익을 얻기는 힘들다고 생각해서 그냥 평균적으로 버는 만큼만 벌자는 마인드로 투자하는 겁니다. 한국 주식 평균에 해당하는 코스피에다가 투자를 해서 그냥 평균적으로 가자는 거죠.
2. 액티브 투자 : 평균보다 더 많이 버는 게 가능하다고 생각해서 노력, 연구해서 주식 평균보다 더 많이 버는 겁니다.
3. 가치 투자 : 회사는 잘하고 못하는 정도를 가치로 매깁니다. 삼성이 갤럭시 최신판 개발하면 삼성 가치가 올라가는 겁니다. 그런데 회사 가치가 높을 수록 주식 가격이 오르기 마련인데 몇몇 회사는 자기 가치보다 주식 가격이 낮게 책정된 겁니다. 그러면 언젠가는 반드시 주식 가격이 가치에 맞춰서 오르겠죠.
그래서 주식 가격이 가치보다 더 낮은 회사들을 투자해서 주식 가격이 오를 때까지 기다렸다가 파는 겁니다. 보통 재무제표 보면 회사 가치를 알 수 있습니다.
4. 기술적 투자 : 차트 패턴, 과거 데이터 보고 투자하는 겁니다.
5. 매크로 투자 : 각종 경제 지표를 보고 투자하는 겁니다. 이자율, 실업률, 경제 성장률, 환율 등등 보고 하는 겁니다.
6. 정보 투자 : 뉴스, 전문가 말 믿고 투자하는 겁니다. 전문가가 유튜브에서 이 종목 오를 거 같다 하면 사는 거죠.
뭐가 맞는지는 정답이 없지만 전문가들은 보통 가치투자와 기술적 투자를 많이 합니다.
혹시 수학, 코딩 관심 많으면 퀀트에 도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