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해양공학과 진학을 희망하시는군요. 고1 때 생명과학 위주로 선택했다 하더라도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지금부터라도 조선해양공학과에 필요한 과목들을 잘 선택하면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조선해양공학과는 배와 해양 구조물을 설계하고 만드는 학문으로, 물리와 수학이 가장 중요합니다. 따라서 물리학과 관련된 과목, 그리고 심화 수학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등학교 추천 선택 과목
물리학Ⅱ
필수 과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해양공학의 기본 원리인 힘, 역학, 유체역학 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물리학Ⅰ만 들었더라도, 물리학Ⅱ를 반드시 듣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하
선박의 곡선 형태나 3D 모델링 등을 다룰 때 기하학적 지식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공과대학에서 기하를 이수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므로, 듣는 것이 좋습니다.
화학Ⅰ, 화학Ⅱ
선박에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이나 부식 방지 등을 공부할 때 화학적 지식이 필요합니다. 화학Ⅱ까지 듣는다면 심화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더 깊이 있는 전공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정보
코딩(프로그래밍) 능력은 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선박 설계 소프트웨어 등을 다룰 때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정보 과목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현재 선택 과목에 대한 조언
현재 1학년 때 물리학Ⅰ과 화학Ⅰ, 생명과학Ⅰ을 이수하고 있는 것은 좋은 선택입니다. 다만, 생명과학은 조선해양공학과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은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공학 분야에서 생명과학 지식이 전혀 필요 없는 것은 아니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회 교과 (현대사회와 윤리, 윤리와 사상 등)**를 듣는 것도 나쁜 선택은 아닙니다. 공학 윤리 등 사회와의 연관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과 기하를 안 들은 것은 조금 아쉽지만, 2학년 때부터라도 기하를 선택할 수 있다면 듣는 것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지구과학은 필수는 아니지만, 해양 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향후 계획
2학년 때부터는 물리학Ⅱ, 기하를 꼭 선택하세요. 만약 학교 사정상 선택이 어렵다면, 온라인 공동 교육 과정 등을 활용하여 이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교과 세특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을 잘 관리하세요. 물리학이나 수학 관련 수업에서 조선해양공학과와 관련된 주제로 발표하거나 탐구 활동을 한다면, 진로에 대한 적극성과 역량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력'이나 '유체역학'을 배우면서 선박의 원리를 탐구하는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의 활동을 해볼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지금부터라도 물리학Ⅱ, 기하를 선택하고 관련 활동을 열심히 한다면 조선해양공학과 진학에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생명과학 위주로 선택했다는 점을 너무 염려하지 마시고, 앞으로의 선택과 활동에 집중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