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금리와 주식, 부동산 등 투자 자산 시세의 관계 경제 관련 도서를 읽고 있습니다. 저는 금리가 오르면 주식, 부동산

경제 관련 도서를 읽고 있습니다. 저는 금리가 오르면 주식, 부동산 같은 투자 자산의 시세는 낮아지는 걸로 알고 있었습니다. 근데 책에서 설명하길 레이건 정부는 달러 확충을 위해 고금리 정책을 펼쳤다고 합니다. 금리가 오르는 나라는 투자 자산 시세가 오르는 경향이 있고, 이를 통해 해외 자금을 끌어들여 달러를 확충하려고 했다고요. 어느 쪽이 맞는건가요?

둘 다 맞는 말이에요. 상황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어서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오르면 대출이 부담돼서 주식이나 부동산 같은 자산 가격은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요.

하지만 미국처럼 기축통화국의 경우엔 고금리를 매력으로 외국 자본을 끌어들이는 전략도 써요.

레이건 시기엔 높은 금리로 달러 가치를 올리고, 자본 유입을 유도해서 경상수지 적자와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던 거예요.

즉, 국내적으로는 자산 가격을 누르지만, 국외 자본을 끌어들이는 데는 고금리가 효과적일 수 있는 상황이 있는 거죠.